목차
직장인이라면 월급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, 지방 소득세를 참감 받으신 후에 실수령을 합니다. 그래서 연말 연초가 되면 직장인들에게 가장 관심 있는 것 중 하나는 4대보험료율일 거에요. 2024년 4대보험요율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.
4대 보험이란
4대보험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업재해보상보험이 4대보험 입니다.
- 건강보험 : 국민 질병이나 부상 등의 의료비를 부담하지 않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보험
- 연금보험 : 국민 노후에 경제적인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, 근로생활을 마친 후에도 일정한 수입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보험
- 고용보험 : 근로자들이 일자리 상실 시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수입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줍니다.
- 산재보혐 : 근로자들이 업무상의 사고로 인해 상해를 입었을 때, 치료비와 소득 손실을 보장해주는 보험
4대보험요율 국민연금
국민연금은 국민들의 노후를 책임지는 연금으로, 4대보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2024년과 국민연금요율은 23년과 동일하게 9%로, 근로자와 사업주가 가각 4.5%씩 부담하게 됩니다.
4대보험요율 건강보험
건강보험은 누구나 치료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사회보장제도로, 질병이나 부상에 따른 진료비로 인해 가계의 부담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.
2024년도 건강보험료도 2023년과 동결입니다. 근로자부담이 50% 입니다.
4대보험요율 고용보험
고용보험은 구직자에게 개발, 취첩 등 실업예방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보험입니다.
근로자와 사업주가 0.9%씩 각각 부담을 합니다. 고용보험요율도 동결입니다.
4대보험요율 산재보험
산재보험은 산재근로자와 가족 생활을 보장해 주기 위한 의무보험 입니다.
사업주가 100% 부담하게 되어있으며, 산정범위가 0.7%~18.06% 입니다.
4대보험요율 장기요양
장기요양보험은 아래 산정식으로 보험료가 계산되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씩 부담 합니다.
장기요양보험료 산정식 = 건강보험료 × 장기요양보험요율(0.9182%) / 건강보험요율(7.09%)
4대보험 계산 방법
4대보험 정보연계센터에 4대보험 모의 계산이 가능합니다.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사이트에 보험료 계산기로 확인해볼수 있습니다.